씌운 금니가 빠졌을 때 다시 붙이기 가능한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자면 불가능합니다. 그냥 단순히 가만히 있는데 탈락되는 부분이 아니라, 무언가를 씹다가 금니가 탈락되게 되는데요. 아주 미세하게 살짝이라도 모형이 변화하게 되면 다시 붙이기는 불가능합니다.
다시 본을 떠서 다시 금니를 해야 할 수도 있기에 이 부분은 다시 정가적인 비용을 지불하여 금니를 맞춤 제작을 하셔야 합니다. 근데 사실 씌운 금니가 10년 이상 사용을 안 했는데 그전에 탈락된다는 것은 사용자 부주의도 있지만, 전문이 실력에도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크라운 시술 한번 하면 정말로 못하지 않는 이상 기본 10년 이상은 갑니다. 그러나 처음에 크라운 치료를 하였을 때 해당 부분이 꽉 끼는 현상이 생기거나, 무언가 규격이 안 맞거나 염증이 생긴다든지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크라운 수명은 줄어들게 되지요.
그래서 과거의 일을 되돌이켜서 필자가 언급드린 증상들이 있으시다면 기존에 방문하셨던 치과가 아닌 그냥 다른 치과 방문하시어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더 낫다고 보입니다.
그러면 조금 더 나은 치과는 어디서 구해야 할까요? 과연 그곳은 어디일까요? 크라운 치료는 일반 충치치료와는 결이 다릅니다. 충치 치료는 레진과 엮여 있으며, 크라운 같은 경우에는 보철물을 잘 다루는 임플란트나 라미네이트 그리고 제로네이트 같은 보철물 전문 치과를 방문하시면 도움이 되오니 이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필자인 경우에는 가벼운 치아 검진이나 충치 및 레진을 이용하는 병원 한 군데와 크라운 치료 및 라미네이트와 임플란트를 전문적으로 하는 치과 한 군데 이렇게 총 두 군데의 치과를 인생치과를 등록하여 잘 다니고 있습니다.
병원 두 군데 다닌다고 해서 나쁜 게 절대 아닙니다. 한 지역에서도 보면 젊은 층이 자주 다니는 치과는 충치 전문 치과들이 많으나, 어르신들이 많이 다니는 치과는 임플란트 혹은 크라운 전문 치과가 많습니다. 즉 환자가 어떠한 니즈를 가지고 방문하냐에 따라 세분화된 치료 카테고리의 시술들의 경험치가 올라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하오니 이러한 기준의 개념을 잘 습득하시어 향후 치료 하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