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모근 한쪽만 뻐근 거리고 통증이 생긴다면 어깨가 안쪽으려 말렸다는 소리가 되며, 승모근 자체에 통증이 생겼다면은 말린 어깨로 인한 라운드 숄더가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전형적인 상체 무게 중심 불균형으로 무너진 체형인 경우에 이러한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데요. 이에 대한 대처법을 안내드립니다.
교정하는 방법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면 정말 어려워지고 귀가 얇아집니다. 그래서 유튜브에 헬스나 필라테스 요가 영상들을 찾아보면서 교정하는 방법을 따라 하곤 하지만 오래가진 못하지요.
네 맞습니다. 위에서 안내드린 아무리 좋은 운동법을 찾아도 오래 하지도 못할뿐더러 하루에 최소 5시간 이상정도 하는 운동을 업으로 삼는 분들이 해도 될까 말까입니다. 사실 이러한 교정 자체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것이 조금 안타깝긴 합니다.
교정하는 방법은 정말로 간단합니다. 말린 어깨를 교정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잘못된 습관을 역순으로 하여 다시 되돌려 놓으면 됩니다. 그럼 잘못된 습관은 무엇이 있을까요?
땅보고 걷기, 무거운 책가방, 굽 높은 구두, 상체 굽히는 습관입니다. 거의 대표적으로 흔한 원인이 땅보고 걷는 습관 고개를 숙이고 걷는 습관이지요. 이걸 반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땅을 보고 걸었으니, 이제는 정면보다 살짝 시선을 높이신 다음에 천천히 걷는 연습을 하시면 되시고, 굽 높은 신발은 지양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점차적으로 상체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는 증상이 느껴지실 텐데요.
그 느낌을 잘 살리셔서 꾸준하게 하루에 한 시간 정도 반년정도만 하시면 전부 교정됩니다. 그냥 교정 운동하느라 스트레스받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대신 말린 어깨로 인한 근육 뭉침 증상은 항시 하루에 한두 번씩 마사지를 해주셔야 합니다.
필자 같은 경우에는 안마의자가 있어서 하루에 두 번 정도 안마의자 마사지를 받으면서 뭉친 근육을 해소하여 주고, 남은 시간에는 올바른 걷기를 진행하여 교정에 힘을 썼습니다.
지금은 반년만에 상체 교정은 완료되었고, 더 이상 승모근 어깨 통증도 없이 편안하게 일상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러하오니 본질적 원인을 필자처럼 잘 찾아보시고 교정 운동하시기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