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가 찌릿거리거나 시큰 거리거나 욱신 거릴 때 대처하는 방법은, 우선 어떤 치아에서 이러한 증상이 생기는지 확인해 보시는 것이 중요하며, 두 번째로는 왜 이러한 증상이 생기는지 유추해보셔야 합니다.
첫 번째로는 치아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입니다. 평소에 치간칫솔 및 치실 사용을 안 하시는 분들인 경우에는 특히 이러한 증상이 많이 생기곤 합니다.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염증을 일으켜 통증을 나타내게 되지요.
이러한 염증 증상이 잦아지면, 점점 치아 밑 부분의 뿌리 부분까지도 충치가 생기게 되어 이빨이 시큰거리거나 욱신 거리는 증상을 만들어냅니다. 결국은 현재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면 이미 단순한 충치 치료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하며,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로 진행하는 치료밖에 선택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크라운인 씌운 치아가 통증이 나타난다면, 그것은 크라운을 씌운 치아가 아니라 그 양사이드의 치아의 뿌리 부분에 통증이 생기는 게 대부분입니다. 크라운을 한 치아는 신경치료를 마쳤기에 통증이 안 느껴집니다.
신경치료의 단점이기도 하는데,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을 씌우시면 크라운 안에서 무슨 상황이 벌어지는지 모릅니다. 그리곤 나중에 갑자기 크라운이 턱 하니 빠져버리게 되지요. 그럼 그때는 임플란트 하셔야 합니다.
이미 욱신거리나 통증이 생기는 치아에 대한 대처방법은 임플란트 밖에 없습니다. 어중간하게 충치치료를 한다거나, 크라운으로 그 기간을 늘려보아도 어차피 임플란트로 향하기 전의 임시 치아일 뿐입니다. 많은 분들이 임플란트는 비싸요. 크라운 할래요.라고 말씀하시는데요.
크라운을 하는 것 자체가 총합적인 비용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임플란트도 보다 가성비가 좋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멀쩡한 옆치아까지 충치 생성하는 것이 크라운이기도 하기에 웬만하면 임플란트를 추천드리고 싶네요.
임플란트도 시기가 있어서 나이 들어서 잇몸뼈가 약해지면 식립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 와버립니다. 그래서 웬만하시면 잇몸이 건강하고 튼튼할 때 임플란트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